HISTORY🔥
![[프로그래머스] Lv 3. 순위](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egHliT%2FbtrDV5Ko8s9%2FAAAAAAAAAAAAAAAAAAAAABvffzuEU57JOIshih9jmzXtEMAKxPC9EbMQo3XfAnXo%2Fimg.jp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YCEGNII2O4tGhcZ5rOhjZTLCpyg%253D)
[프로그래머스] Lv 3. 순위
코딩테스트 연습 - 순위 5 [[4, 3], [4, 2], [3, 2], [1, 2], [2, 5]] 2 programmers.co.kr 문제 심판은 주어진 경기 결과를 가지고 선수들의 순위를 매기려 합니다. 하지만 몇몇 경기 결과를 분실하여 정확하게 순위를 매길 수 없습니다. 선수의 수 n, 경기 결과를 담은 2차원 배열 result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정확하게 순위를 매길 수 있는 선수위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풀이 A와 B라는 선수가 있을 때, A가 B에게 이겼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바로 A에서 B로 가는 경로가 있을 때, A가 B에게 이겼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를 보시면 4번 선수는 2번 선수뿐만 아니라 5번 선수에게도 이긴다는..
[프로그래머스] Lv 3. 네트워크(Kotlin)
코딩테스트 연습 - 네트워크 네트워크란 컴퓨터 상호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된 형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 A와 컴퓨터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고, 컴퓨터 B와 컴퓨터 C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 programmers.co.kr 문제 컴퓨터의 개수 n, 연결에 대한 정보가 담긴 2차원 배열 comput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네트워크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하시오. 풀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집단의 개수를 구할 때는 DFS(깊이우선탐색)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드 class Solution { fun solution(n: Int, computers: Array): Int { var answer = 0 val visited = BooleanAr..
[프로그래머스] Lv 3. 가장 먼 노드(Python)
코딩테스트 연습 - 가장 먼 노드 6 [[3, 6], [4, 3], [3, 2], [1, 3], [1, 2], [2, 4], [5, 2]] 3 programmers.co.kr 문제 n개의 노드가 있는 그래프가 있습니다. 1번 노드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노드의 갯수를 구하려고 합니다. 노드의 개수 n, 간선에 대한 정보가 담긴 2차원 배열 vertex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1번 노드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노드가 몇 개인지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풀이 넵! 문제의 정답이 나와있습니다.😊 그래프 문제입니다. 그 중 특정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노드들에서 시작해 점차 먼 노드들을 순서대로 탐색하는 BFS를 이용해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 코드 def solution(n, ..
[프로그래머스] Lv 3. N으로 표현(Kotlin)
코딩테스트 연습 - N으로 표현 programmers.co.kr 문제 숫자 N과 number가 주어질 때, N과 사칙연산만 사용해서 표현할 수 있는 방법 중 N 사용횟수의 최솟값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하세요. 풀이 이 문제에서는 제한 사항을 볼 필요가 있습니다. 최솟값이 8보다 크면 -1을 return 한다는 점입니다. 즉, 숫자 N을 최대 8번만 사용 가능하다는 것! 이 제한사항 덕분에 문제가 훨씬 간편해졌습니다. 저희는 그저 사칙 연산한 결과를 재귀함수로 전달하면서 number를 만들 수 있는지 검사만 해주면 됩니다. var n = 0 for (i in 1..8) { // N숫자 늘리기, 5, 55, 555, 5555 같이 n = n * 10 + N solve(resul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