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2024] 부터 시작하는 올해 뭘 했을까? 😆](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wdEEx%2FbtsKCvN7C79%2FdaqIWPgH7uPHDOUZNwEgQK%2Fimg.png)
[2024] 부터 시작하는 올해 뭘 했을까? 😆
1. 리팩토링 완료!제가 맡고 있던 앱을 java에서 Kotlin으로 리팩토링 하는 작업 ( Compose를 곁들인 )이 드디어 완료되었어요.ㅠㅠ 기능 리팩토링보다 더 힘들었던건 아무런 히스토리 문서가 없는 상황에서코드를 분석하고 빠진 기능이 없도록 QA 문서를 작성하면서 진행하는 점이었습니다. 물론 진행을 하다 작은 이슈가 몇 개 발생하기는 했지만! 😋리팩토링을 무사히 완수할 수 있었어요!! 리팩토링 완료 후, As-Is 코드 제거 PR
![[하루네컷] Designsystem에 맞게 Core Component 만들어보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hTNPl%2Fbtr719J46kD%2F7cUs1wfTKhYX1JyiD8nWE0%2Fimg.png)
[하루네컷] Designsystem에 맞게 Core Component 만들어보기
이번에 진행하는 토이 프로젝트인 하루네컷의 목표 중에 하나가 바로 Core Component를 먼저 만들어두고 Screen에서 이를 가져와 조립하는 방법으로 UI를 구성하는 것이었습니다. 🤗 해당 포스트에서는 만들어본 Component들과 이와 관련된 코드들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이후에 또 비슷한 Component를 사용할 저를 위해ㅎㅎ Core Component를 만들기 전에 먼저 기획 문서를 작성하고 시작해 보았어요. 🔥👍🏻 만약 실무에서 동일한 업무를 수행한다면 다른 프레임워크 개발자분들과 소통을 하는데 문서가 가장 좋다고 생각해서 연습(?)을 해보았습니다.ㅎㅎ 👇🏻 요렇게! [BASE] #8 Core Component 추가하기 by aurora32s · Pull Request #10 · au..
![[Android] Github CI/CD를 이용해 Firebase App Distribution까지!](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YY1qa%2Fbtr7gxZeubM%2FKlrzFowKdmBc3cp9LD1S6k%2Fimg.png)
[Android] Github CI/CD를 이용해 Firebase App Distribution까지!
예~~전에 Jenkins와 docker를 이용해 프론트엔드의 CI/CD는 직접 구축해본 경험이 있지만 이와는 완전히 다르게 돌아가는 Android에서 CI/CD를 어떻게 적용하였는지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Github에서는 CI/CD를 위한 Action이라는 기능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 1. Github Action 시작하기 Github에서 Repository를 만들게 되면 Actions tab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tab에서 android를 검색하게 된다면 👇🏻아래와 같이 Android를 위한 CI를 볼 수 있어요. 여기서 Configure를 클릭하면, CI/CD를 설정할 수 있는 yaml 파일이 생성되고, 요구사항에 맞게 코드를 수정하여 commit하시면 Action이 적용되..
![[Android] 첫 멀티모듈 적용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n8G8t%2Fbtr18DWVlG7%2FCIWNLR06YVP6uL8yJdH0e1%2Fimg.png)
[Android] 첫 멀티모듈 적용기
이번 토이프로젝트에서 처음으로 멀티모듈을 적용해보기로 다짐한 후, 여러 관련 post를 읽어보고 android의 now in android 프로젝트 코드를 전체적으로 분석해보면서 어떻게 제 프로젝트에 적용하였는지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혼자 공부해서 혼자 해본거라 틀린 점이 있을 수 있어요! 만약 있다면 꼭 댓글로 말씀 부탁드립니다. 🙏 1. 프로젝트 구조 기획 사실 모듈 자체를 생성하는 것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사용한다면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기존 single module 개발에서와 마찬가지로 Layer들을 확실히 나눈 상태에서 멀티모듈을 만들어 보고 싶었어요. 🔥 그래서 프로젝트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어떠한 모듈들을 만들고 어떤 의존관계를 가질 지 기획하는 시간을 가지기로 했습니다...